남북 철도와 도로 연결 착공식이 잘 마무리되면서 철도·도로 협력이 한 걸음 진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반적인 착공식처럼 삽을 뜨는 모습은 볼 수 없었는데요, 착공까지 가기 위해선 큰 숙제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와 함께 과제가 무엇이고 어떻게 풀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. 김지선 기자! <br /> <br />착공식을 마쳤는데 다음 단계는 뭐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착공식이라 하면 공사 시작을 알리는 건데, 이번에는 바로 착공에 들어가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착공에 들어가기 전까지 준비해야 하는 것들을 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지난번 공동조사 결과를 분석해 추가 정밀조사를 해야 하고요, 그런 후에 기본적인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공사 전 반드시 필요한 설계까지 마치면 공사 준비는 거의 끝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몇 가지 의문이 드는데, 우선 아직 공사 준비가 끝나지 않은 상태라면 왜 지금 착공식을 한 거죠? 게다가 착공이 언제 가능할지 알 수 없는 상황이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물론 지금은 여건이 안 됩니다. <br /> <br />북미 관계가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대북제재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이번 착공식은, 상황이 이렇다고 남북관계 동력마저 잃을 수는 없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성격이 강합니다. <br /> <br />연내 착공식은 지난 9월 남북 정상의 평양선언 합의 사항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엔 북미 협상이 연내 진전을 보고 그래서 남북 철도 도로 협력 여건도 지금보다는 나아질 것으로 생각하고 또 그런 희망을 담아 합의를 했던 건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북미 협상의 교착 상태가 예상만큼 잘 풀리지 않으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게 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남북관계라도 최대한 합의사항을 지켜나가되 문재인 대통령도 말했듯 착공식이 아닌 착수식의 성격이 강해진 겁니다. <br /> <br />공사가 가능할 때 대비해 언제든지 공사를 시작할 수 있게 모든 작업을 사전에 준비해 놓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공사는 미뤄둔다고 해도, 조사, 설계 여기에 들어가는 예산만 상당할 것 같은데요? 이건 대북제재와 무관하다고 볼 수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철도·도로 연결 및 현대화 사업의 핵심은 북한 철로를 새로 정비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당연히 이를 위한 비용 투입은 대북제재 논란이 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테면 설계를 우리 기업이 할 경우, 사실상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2711241291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